카테고리
-
Only the abandoned satellites will be your side in these myriad sleepless nights as the sheep already have left you; they say they feel tired of jumping the fences million times while you were tossing and turning. 이글루 파인더
|
토요일에 아몬디에에 다시 들렀다. 이스파한을 다시 먹어보기 위해서였다. '아 너무 맛있어서 또 먹어야 되겠다' 뭐 이런 생각이 든 건 아니었다. 장미향이 난다고 들었는데, 정작 나는 전혀 맡지 못했기 때문이었다. 나도 왜 그거 가지고 유난을 떠는지 모르겠지만, 왠지 확인하고 싶었다.
![]() 받아들면서 보니, 포크로 잘라 먹으라는 배려인지 바깥쪽 날이 더 두꺼웠다. 그러나 미안한 이야기지만 이 이스파한은 그걸로 자를 수 없을 정도로 단단했다. 지난 번에 먹은 것보다 더 단단한 느낌. 정말 마카롱 껍데기는 쫄깃쫄깃하다 못해 질긴 것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거의 모든 음식을 막론하고 좋아하는 바로 그 식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. 이번에는 정말 모든 오감을 총동원해서 먹어보았는데(-_-), 정말 아주 희미한 장미향이 느껴졌다. 거의 체면치레하는 정도? 장미향이 이 디저트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 같았다. 과연 장미향이 이 정도에서 그치는 게 외국에서 데려왔다는 그 파티셰의 자발적인 의도에서 비롯된 것인지, 아니면 그 고귀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입맛에 맞추라는 매니지먼트의 지시에서 나온 것인지 궁금했다. 만약 후자라면 웃기는 일이다. 양념이 재료를 덮어버릴 정도로 많이 들어가는 대부분의 우리나라 음식, 특히 외식자리에서 먹을 수 있는 음식이라면 디저트도 조금 더 강렬한 맛과 향을 가진 것이 좋은데 이런 종류는 대부분 일본의 영향을 받은 유럽풍이거나 알아서 기거나(?)하는 식이라서 대부분 그 맛이냐 향이 소심해서 그 짝이 맞지 않기 때문이다. 마침 그 네덜란드에서 왔다는 파티셰가 눈에 띄길래 물어보고 싶었으나 뭐 그럴 수는 없는 노릇이고... 열린 주방이니 다 보이는데 매@유업의 생크림팩이 있길래 혹시 이 맛의 원흉(?)이 저것인가 생각이 들었다. 이상하게 나는 매@유업의 유제품에 믿음이 가지 않는다. 아마 일종의 편견인듯. 이번에 먹은 건 지난 번 것보다 마카롱 껍데기에서 아몬드 맛도 많이 나는 등, 장미향을 빼놓고는 그래도 풍성한 느낌이었지만 식감은 정말 엉망이었다. 쫄깃하다 못해 질긴 껍데기에 치약과 같은 느낌의 리치(?)크림이 주는 느낌이 너무 뻣뻣해서,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연약한 산딸기가 가련하다느 느낌이 들 정도였다. 어쨌든 궁금증은 풀었으니까 됐다. 그래도 아몬디에 디저트들의 '뽀대'는 그래도 참 훌륭하다. 특히 에릭 케제르에서 파는 것과 비교하다면 그러한 점이 더 두드러진다. 1,000~2,000원의 가격 차이가 완전히 뽀대에만 집중되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정도다. 이번에는 새로 문을 연 프라자점에 가봤는데, 여의도점에서 느낀 것과 같은 조잡함은 여전했다. 같은 사람들이 만드는 것 같으니 그럴만도 하다. ![]() 카시스와 오페라(하나가 4,500원, 또 다른 하나가 5,500원이었는데 어떤 게 얼마였는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-_-)를 하나씩 사다가 먹어보았다. 아무개님이 드셨던 것과 같은데, 다른 것들은 일단 외양부터 별로 식욕을 돋우지 않았다. 뭐랄까 굉장히 아마추어스러운 느낌의 마무리였다. 특히나 두 케이크 위에 올린 생 아몬드와 피스타치오는 정말... 이게 그야말로 클래식한 방법인지는 잘 모르겠으나, 소비자의 입으로 들어갈 때쯤에는 눅눅해지는 견과류는 올릴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. ![]() 카시스는 일단 색깔부터 두드러지는 가운데의 카시스 무스가 맛의 하이라이트이고, 나머지는 식감으로 뒷받침해주거나, 카시스의 신맛을 덜어주는 역할을 한다. 예전의 글에서 언급한 것처럼 산딸기 퓨레의 신맛, 특히 그 마지막 여운을 싫어하는데 이 무스의 신맛은 그래도 적당히 산뜻한 수준에서 끝난다고 할 수 있었다. 그러나 이것도 결국은 퓨레를 들여다가 만들 확률이 높으니... ![]() 오페라는 초콜렛과 견과류가 함께 내는 맛이 굉장히 진했다. 다만 견과류의 양이 너무 많아서 오히려 식감에 살짝 방해가 되는 느낌이었다. 재미있었던 것은 맨 위의 젤라틴 켜. 원래는 글라사쥬여야 하는 것인데 저런 식으로 같은 효과를 내려는 의도였는지는 모르겠다. 어쨌든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굉장한 신축성을 지니고 있어 케이크의 전체 식감에는 부정적인 요소였다. 심지어는 단면마저도 그다지 가지런하지는 않은 것이 조금 더 겉보기에 신경을 써야 되지 않나 생각이 되는 케이크들은, 그래도 맛이 굉장히 풍성하다는 측면에서 마음에 들었다. 위에서도 언급했지만, 웬만한 곳에서 먹을 수 있는 디저트들은 대부분 그 맛이 소심하다. 어딘가는 단맛을 너무 뺐고, 또 어딘가는 지방을 너무 뺀 느낌. 물론 그 둘 모두를 뺀 듯한 느낌이 드는 곳도 많다.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만들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 정도의 풍성한 느낌이 드는 디저트를 더 많이 먹어볼 수 있다면 좋겠다. <경>음식 밸리 및 전체 탑 장식<축>-기념 업데이트 및 모자간의 대화와 갈등(당일 한정) ![]() 나: 어머님, 이 미천한 소자 짱먹었사옵니다. 모친: 그래? 나: 네 어머님, 그 기념으로 짱먹은 이미지 캡춰한 걸 포스팅에 덧붙이고자 하오니 허락해 주시옵소서. 모친: 그건 네가 알아서 할 바겠지만, 그럴 경우 주변이 시끄러워지지 않겠느냐? 나: 무슨 말씀이신지... 모친: 노파심에서 하는 이야기니라. 나: 어머님께서 이제 연로하셨으니 어머니의 마음이야 당연히 노파심일 것이라는 건 잘 알고 있사옵니다. 모친: 우리 집안 체통을 생각해보거라. 밸리 탑 한 번 먹었다고 경거망동하는 걸 아버지께서 아신다면... 나: 알고 있습니다, 어머님. 그렇지만 이번 한 번만 허락해 주시옵소서. 모친: 못난 것! 나: 어머님...ㅠㅠ 모친: 물러가도록 해라. 뭐라고 해도 네 멋대로 할테니 상관하지 않겠다만, 단 한 번의 경거망동으로 호부호형할 기회를 박탈당하더라도 네 에미나 아버지를 원망하는 우를 범하는 일이 없도록! 나: 어머님ㅠㅠ 너무하십니다, 어머님. 이게 어떻게 먹은 밸리 탑인데...ㅠㅠ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※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.
|